전체메뉴 닫기
산과(예비맘)
산과

의료진

소개

차별화된 산모식사

맞춤분만센터

소개

다학제진료

분만법

제왕절개

산후조리원

온라인예약

소개

이용안내

이용후기

프로그램

고위험산모통합치료센터

의료진

소개

고령임신

산과클리닉

임신준비

임신초기

임신 중기

임신 말기

출산 후

건강정보

건강정보 AtoZ

심포지엄 자료실

산모건강강좌

건강강좌/교실안내

산모대학

라마즈순산교실

모유수유교실

부부순산교실

사랑의터치교실

당뇨교실

유방암환자교실

암환우무료교육

비뇨의학과
여성·소아비뇨의학과

의료진

소개

여성암센터
부인암센터

의료진

소개

로봇수술센터

의료진

소개

다빈치 Xi 시스템

주요 부인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기타부인암

부인암클리닉

부인암 면역항암

HPV자궁경부 이형성증

자궁근종/육종

융모상피질환

암환자조기폐경

난치성 자궁선근증

난소종양

유전성난소/유방암

미혼여성부인종양

비수술적 자궁근종치료

부인암교육
소아응급센터
소아응급의료센터

의료진

소개

구역별특징
응급진료안내
소아응급건강정보
병원소개
분당차여성병원

소개

미션&비전

연혁

병원장인사말

인사말

역대병원장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행사강좌/심포지엄

여성간호부

여성병원 간호부

조직도

간호부 소개

교육

대내외 활동

협력병원
편의시설
고객의소리

고객의소리

고마워요 차병원

처음진료 빠른예약
간단한 이름, 연락처를 남기시면, 전문 상담원이 진료 예약을 도와드립니다.
이름
연락처
통화가능시간
* 전화 연결 2회 이상 실패 시 상담신청이 자동 취소됩니다.
* 월요일과 공휴일 다음날에는 통화량이 많아 연락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 통화 요청 일시가 공휴일인 경우에는 휴일 뒤에 연락이 갑니다.
* 치과는 빠른진료예약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1.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고객성명, 연락처
2. 수집이용 목적
처음진료 고객 또는 비회원 고객의 진료예약 및 진료안내
3.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된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3년 후 삭제되며, 예약 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공유하기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소화기, 영양

배가 자주 아픈 우리 아이 건강한 소화 기능으로 회복합니다

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 소화기영양클리닉은 소아 청소년의 소화기계 질환과 영양 및 관련 대사질환에 대한 상담 및 진료를 통해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주 진료분야는 소아의 소화기 질환, 간∙췌장질환, 비만, 성장부진, 영양상담 등이 있습니다.

전신마취 없이 소아환아 연령에 적합한 안전한 내시경 검사
상부, 하부 위장관 내시경은 소아청소년에서 그 적응증이 매우 다양하여 성인에서와 마찬가지로 흔히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어린 영유아에서도 통상의 방사선 검사로 알기 어려웠던 점막 병변을 발견하는데 더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습니다. 검사는 환아의 연령, 기저질환, 약물 복용력, 당시 상태에 따라 필요 시 전신 마취 없이 진정제 투여 상태로, 환아 연령에 알맞은 크기의 내시경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응급한 질환이 아닌 경우 금식이 필요하며, 대장 내시경의 경우 장청소액을 먹고 관장을 진행해 장을 비운 후 시행합니다.
상부 위장관 내시경이필요한 경우
만성적인 복통이 체중 감소, 구토, 설사, 성장 저하, 야간 증상 등과 동반될 때, 반복되는 구토나 위장관 출혈이 있을 때, 삼킴 장애가 지속될 때, 이물을 삼킨 경우
하부 위장관 내시경이필요한 경우
혈변, 만성 설사, 기타 대장의 기질적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소아의 위장질환
  • 소아의 만성 복통
    만성 복통은 주로 4-16세의 소아에서 2개월 이상 지속되고 정상적인 활동에 영향을 주는 복통을 의미합니다. 복통은 주관적이고 전체 소아의 10-15%에서 만성 복통을 경험할 정도로 흔하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이지만, 다행히도 이 중 10%에서만 기질적 원인이 발견되며 심각한 원인이 없는 ‘기능성 복통’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만성 복통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소화성 궤양, 위식도 역류, 췌장염 등의 기질적 질환에 대한 감별이 중요하기 때문에 증상이 있을 경우 전문적인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검사가 필요한 경우]
      • 체중 감소, 혈변, 만성 설사, 의미 있는 구토, 통증으로 인한 수면 장애, 성장 저하, 사춘기 지연 등의 경고 증상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
    2. [검사 항목]
      • 혈액 검사, 대변 검사, 복부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 내시경 검사 등
  • 소아의 위식도역류
    위식도 역류는 식도 하부의 장관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불편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조직학적 병변을 유발하여 병적인 상태가 됩니다. 보통 1세 미만의 어린 영아에서는 위 배출 능력이 미숙하여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2세 경에는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다만 증상이 지속될 경우 흡인성 폐렴, 식도 협착, 만성 빈혈 등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위식도 역류가 진단될 경우 식이 조절과 약물 치료를 통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검사가 필요한 경우]
      • 성장 및 체중 증가 저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빈혈, 1-2세 이후에도 호전되지 않고 반복적인 증상이 나타날 경우
    2. [검사 항목]
      • 24시간 식도산도 검사, 상부 위장관 내시경 등
  • 소아의 변비
    변비는 음식을 섭취한 만큼 배변하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소아에서의 변비는 소아청소년과 소화기 외래 환자의 25% 정도를 차지할 만큼 흔합니다. 장 내에서 변이 굳어지고 수분이 흡수되면서 크고 단단한 변이 생성되고, 이러한 변을 보면서 항문 통증 및 혈변이 생겨 아이는 변을 더 참게 되는 악순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약 90%는 특별한 원인이 없이 잘못된 식이, 습관,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기능성 변비로 변비가 심해지면 오히려 변이 물러지면서 변지림이 나타나 자신감이 떨어지고 사회 심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이 또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일부에서 변비는 전신 질환, 대사 및 내분비 이상, 음식 알레르기, 장관의 해부학적 및 조직학적 이상 등 기저 질환의 ‘증상’ 일 수 있으므로 이를 잘 감별하는 것 역시 필요합니다.
    1. [검사가 필요한 경우]
      • 복통 및 복부 팽만, 구역, 구토, 식욕 감퇴, 변지림, 조절되지 않는 변비
    2. [검사 항목]
      • 혈액 검사, 복부 X선 검사, 대장 조영검사, 항문 괄약근 기능 검사 등
  • 소아의 만성설사
    설사는 정상적인 패턴과는 다른 횟수가 잦고 묽으며 수분이 많은 배변으로, 14일 이상 지속될 때 만성 설사라고 합니다.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감염, 만성 비특이성 설사, 위장관 알레르기, 유당 불내증, 염증성 장질환, 흡수 장애 증후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만성 설사가 심한 경우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며 장내 영양소의 흡수가 감소하여 영양 결핍증이 발생하고 성장 부진이 생길 수 있어 소아에서 만성 설사가 있는 경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료와 적절한 영양공급이 필요합니다.
    1. [검사가 필요한 경우]
      • 영양 결핍, 성장 부진, 식욕 감퇴, 복통이나 혈변 동반, 알레르기 질환 동반, 염증성 장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2. [검사 항목]
      • 혈액검사, 대변 검사, 알레르기 검사, 초음파, 내시경 등
소아의 영양
  • 소아의 비만
    비만은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되는 상태를 말하며, 소아청소년의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하기 쉽고 다양한 대사질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은 10-20% 정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드물게 쿠싱 증후군 같은 내분비 질환이나 신경계 질환에 동반되나, 대부분은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이 원인입니다. 소아청소년 비만 치료는 성장 단계에 따라 열량에 맞는 균형 잡힌 식사요법이 필요하며, 비만 정도와 연령, 동반 대사질환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기적인 검진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1. [검사가 필요한 경우]
      • 2세 이상의 소아 청소년에서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BMI)가 95백분위수 이상인 경우, BMI가 85백분위수 이상, 95백분위수 미만인 과체중이면서 혈압 상승, 간수치 이상,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한 경우 또는 비만에 의한 합병증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2. [검사 항목]
      • 체지방 분석, 혈압, 혈중 지질 농도, 포도당 수치, 간기능 검사, 갑상선 호르몬 수치 등 다른 대사 질환에 대한 평가
  • 소아의 지방간
    최근 소아 비만이 증가하며 술을 전혀 먹지 않는 소아청소년에서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 없이, 검진이나 수술 전 검사 등 우연히 간수치 증가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수치 상승을 일으킬 수 있는 전신 감염이나 종양, 유전 대사 간질환, 자가면역 질환과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지방간염에서 25%는 간섬유화, 간경화로 진행하여 간세포암 발생 가능하기 때문에, 원인이 되는 비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검사가 필요한 경우]
      • 피로, 권태감, 복부 불편감, 간비대 등의 증상이 동반된 경우, 무증상이더라도 간수치 이상 발견된 경우, 비만아에서 정기적 검진, 고혈압, 당뇨병 등 다른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스테로이드 장기간 사용시
    2. [검사 항목]
      • 혈액 검사(간기능 수치, 포도당 수치 등), 복부 초음파, 필요시 간 조직 검사 등
  • 소아의 이상지질혈증
    소아청소년 인구의 비만이 많아지며 성인병으로 널리 알려진 이상지질혈증도 어린 나이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지질혈증은 성인과 마찬가지로 혈관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관상동맥 경화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 발생의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만으로 인한 경우 치료는 충분한 성장이 이뤄지도록 식이 교육과 생활 습관 변화를 하며 체중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 시에는 약물 요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검사가 필요한 경우]
      • 이상지질혈증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가족 중 젊은 나이에 심혈관 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이 있는 경우, 비만아에서 정기적 검진, 고혈압, 당뇨병, 갑상선 질환, 쿠싱 증후군 등 다른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스테로이드 장기간 사용시
    2. [검사 항목]
      • 금식 후 혈액 검사(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LDL 콜레스테롤), 다른 대사 질환에 대한 평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