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산과(예비맘)
산과

의료진

소개

차별화된 산모식사

맞춤분만센터

소개

다학제진료

분만법

제왕절개

산후조리원

온라인예약

소개

이용안내

이용후기

프로그램

고위험산모통합치료센터

의료진

소개

고령임신

산과클리닉

임신준비

임신초기

임신 중기

임신 말기

출산 후

건강정보

건강정보 AtoZ

심포지엄 자료실

산모건강강좌

건강강좌/교실안내

산모대학

라마즈순산교실

모유수유교실

부부순산교실

사랑의터치교실

당뇨교실

유방암환자교실

암환우무료교육

비뇨의학과
여성·소아비뇨의학과

의료진

소개

여성암센터
부인암센터

의료진

소개

로봇수술센터

의료진

소개

다빈치 Xi 시스템

주요 부인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기타부인암

부인암클리닉

부인암 면역항암

HPV자궁경부 이형성증

자궁근종/육종

융모상피질환

암환자조기폐경

난치성 자궁선근증

난소종양

유전성난소/유방암

미혼여성부인종양

비수술적 자궁근종치료

부인암교육
소아응급센터
소아응급의료센터

의료진

소개

구역별특징
응급진료안내
소아응급건강정보
병원소개
분당차여성병원

소개

미션&비전

연혁

병원장인사말

인사말

역대병원장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행사강좌/심포지엄

여성간호부

여성병원 간호부

조직도

간호부 소개

교육

대내외 활동

협력병원
편의시설
고객의소리

고객의소리

고마워요 차병원

차병원 뉴스룸
처음진료 빠른예약
간단한 이름, 연락처를 남기시면, 전문 상담원이 진료 예약을 도와드립니다.
이름
연락처
통화가능시간
* 전화 연결 2회 이상 실패 시 상담신청이 자동 취소됩니다.
* 월요일과 공휴일 다음날에는 통화량이 많아 연락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 통화 요청 일시가 공휴일인 경우에는 휴일 뒤에 연락이 갑니다.
* 치과는 빠른진료예약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1.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고객성명, 연락처
2. 수집이용 목적
처음진료 고객 또는 비회원 고객의 진료예약 및 진료안내
3.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된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3년 후 삭제되며, 예약 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공유하기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최민철 교수, 13차 대한종양내과학회 학술대회 및 2020 국제학술대회 우수 포스터상 수상
2020.09.21


부인암센터 최민철 교수,
13차 대한종양내과학회 학술대회 및
2020 국제학술대회 우수 포스터상 수상


▲부인암센터 최민철 교수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 최민철 교수는 지난 2020년 9월3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13차 대한종양내과학회 학술대회 및 2020 국제학술대회’에서 “진행성 및 재발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의 펨브롤리주맙 치료의 실제 임상 경험에 대한 다기관 연구” (Real-world experience of pembrolizumab monotherapy in patients with recurrent or persistent cervical cancer: A Korean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KGOG1041)에 대한 주제로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최근 면역항암제 중 면역관문억제제가 암 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부인암 치료 분야에서도 활발히 연구 중에 있다.
최민철 교수는 재발성 및 진행성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펨브롤리주맙’이라는 면역관문억제제로 치료한 117명의 임상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치료결과 완치 3명, 부분 반응 8명을 포함해 9% (11/117)의 치료반응을 보였다고 보고했다. 환자 중 치료 시작 시점의 임상상태가 양호한 (ECOG 1이하) 환자 53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의 치료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고 치료 반응은 평균 8.9(7.3-10.4)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이는 기존의 전향적 임상연구에서 발표되는 12-17%의 치료 반응율에 부합되는 결과이며 특히 임상상태가 양호한 환자에서 반응율이 더 나은 것으로 real-world data를 통해 확인했다.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면역관문억제제를 치료한 임상 자료를 바탕으로 시행된 최초의 대규모 후향적 연구이며, 부인종양연구회 주관(KGOG 1031)으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