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산과(예비맘)
산과

의료진

소개

차별화된 산모식사

맞춤분만센터

소개

다학제진료

분만법

제왕절개

산후조리원

온라인예약

소개

이용안내

이용후기

프로그램

고위험산모통합치료센터

의료진

소개

고령임신

산과클리닉

임신준비

임신초기

임신 중기

임신 말기

출산 후

건강정보

건강정보 AtoZ

심포지엄 자료실

산모건강강좌

건강강좌/교실안내

산모대학

라마즈순산교실

모유수유교실

부부순산교실

사랑의터치교실

당뇨교실

유방암환자교실

암환우무료교육

비뇨의학과
여성·소아비뇨의학과

의료진

소개

여성암센터
부인암센터

의료진

소개

로봇수술센터

의료진

소개

다빈치 Xi 시스템

주요 부인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기타부인암

부인암클리닉

부인암 면역항암

HPV자궁경부 이형성증

자궁근종/육종

융모상피질환

암환자조기폐경

난치성 자궁선근증

난소종양

유전성난소/유방암

미혼여성부인종양

비수술적 자궁근종치료

부인암교육
소아응급센터
소아응급의료센터

의료진

소개

구역별특징
응급진료안내
소아응급건강정보
병원소개
분당차여성병원

소개

미션&비전

연혁

병원장인사말

인사말

역대병원장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행사강좌/심포지엄

여성간호부

여성병원 간호부

조직도

간호부 소개

교육

대내외 활동

협력병원
편의시설
고객의소리

고객의소리

고마워요 차병원

차병원 뉴스룸
처음진료 빠른예약
간단한 이름, 연락처를 남기시면, 전문 상담원이 진료 예약을 도와드립니다.
이름
연락처
통화가능시간
* 전화 연결 2회 이상 실패 시 상담신청이 자동 취소됩니다.
* 월요일과 공휴일 다음날에는 통화량이 많아 연락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 통화 요청 일시가 공휴일인 경우에는 휴일 뒤에 연락이 갑니다.
* 치과는 빠른진료예약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1.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고객성명, 연락처
2. 수집이용 목적
처음진료 고객 또는 비회원 고객의 진료예약 및 진료안내
3.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된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3년 후 삭제되며, 예약 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공유하기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산부인과 이지연·정상희 교수팀 임신 초기 비타민D 결핍, 조산 출생아 발달 지연 위험 높인다
2025.08.07

분당차여성병원 산부인과 이지연, 정상희 교수팀
임신 초기 비타민D 결핍, 조산·출생아 발달 지연 위험 높인다


  • 국제학술지 ‘PLOS ONE’에 논문 게재
  • 비타민D가 태아 건강과 직결되는 필수 영양소, 임신 전부터 충분한 섭취 필요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여성병원(원장 김영탁) 산부인과 이지연, 정상희 교수팀은 임신 초기 임신부의 비타민D 결핍이 조산 및 태아의 장기적인 발달 지연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PLOS ONE’에 게재되었다.

비타민 D의 적정 혈중 농도는 30ng/mL 이상이며, 일반적으로 20ng/mL 미만은 결핍, 그 중에서도 10ng/mL 미만은 심한 결핍 상태로 간주한다. 이지연 교수팀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임신부 5,169명을 ▲임신 초기부터 출산까지 비타민D가 지속적으로 결핍된 그룹 ▲임신 초기 비타민D 결핍이었으나 중기 이후 회복한 그룹 ▲임신 초기부터 비타민D가 지속적으로 충분한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임신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비타민D 결핍 상태였던 임신부 그룹에서 비타민D가 충분한 그룹에 비해 태아의 발달 지연 위험이 4.5배, 조산 위험이 2.4배 높았다. 또한 임신 초기에 비타민D가 결핍된 여성이 임신 중 비타민D 수치가 회복되더라도 조산(특히 34주 이전), 출생아의 괴사성 장염, 그리고 아동기 발달 지연의 위험이 여전히 높았다.

또한 2023년 8월에 발표한 ‘Heliyon’ 학술지에 게재된 ‘임신 초기를 포함한 주산기의 산모의 비타민D 결핍의 장기적 결과(Maternal vitamin D deficiency in early pregnancy and perinatal and long-term outcomes)’논문에서도 임신 초기 비타민D 심한 결핍(10ng/mL 미만) 그룹에서 비타민이 충분한 임신부 그룹에 비해 37주 이전 조산률이 7.8배, 발달 지연 위험이 4.3배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임산부의 비타민D는 태아의 면역계, 신경계, 장기 형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 여성의 경우 지리적 특성상 일조량이 적고 실내 활동이 많아 임신 초기 비타민D 결핍 위험이 특히 높다.

이지연 교수는 “임신 중기 이후 비타민D 수치를 회복하더라도, 임신 초기의 심한 결핍이 이미 태반 형성이나 신경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어 임신 계획이 있다면 반드시 미리 섭취해야 한다”며 “10ng/mL 미만의 심한 결핍 여성에게는 적절한 비타민D 보충 및 식이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가임기 여성에서의 비타민D 보충이 단순히 산후 골밀도 유지 차원이 아니라 태아 건강과 직결되는 필수 섭취해야 할 영양소임을 시사한다. 향후 모자보건 정책에서 비타민D 스크리닝 및 보충이 임신 전 건강관리의 한 축으로 시행되어야 하는 중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자료

(왼쪽부터)분당차여성병원 산부인과 이지연, 정상희 교수